728x90
희망두배 청년통장은 서울시가 청년의 미래 준비를 돕기 위해 운영하는 자산형성 지원 사업입니다. 참여자가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, 본인의 저축 금액만큼 서울시에서 100% 매칭 지원을 해주는 제도입니다. 이를 통해 청년들은 결혼, 주거, 교육 등 다양한 삶의 계획에 필요한 자산을 효과적으로 모을 수 있습니다.
1️⃣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자격
2025년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자격은 공고일 5월 26일 기준 다음 5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.
- 거주 조건
서울시 거주자, 타 지역 거주자는 신청 불가입니다. - 연령 조건
만 18세~34세 청년 (1990년 1월 1일 ~ 2007년 12월 31일 출생자)
군 복무자는 복무 기간만큼 연령 연장이 가능하여 최대 만 36세까지 신청 가능합니다. - 근로 요건
최근 1년간 3개월 이상 근로하였거나 현재 3개월 이상 근로 중인 청년만 신청 가능하며, 월 10일 이상 또는 월 60시간 이상 근로 시 1개월로 인정됩니다. 근로 사실은 증빙서류 제출로 증명돼야 합니다. - 개인소득 기준
본인 근로소득 세전 기준 월 평균 255만 원 이하일 것 (2024년 6월 1일 ~ 2025년 5월 31일 기준) - 부모소득 기준
부모(기혼자는 배우자)의 연 소득 1억 원(세전 월 평균 834만 원) 미만이고, 재산이 9억 원 미만일 경우 가능합니다.
2️⃣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방법
- 신청 기간
2025년 6월 9일(월) ~ 6월 20일(금) 오후 6시까지
※ 기간 외 신청은 불가하니 반드시 일정 내 접수해야 합니다. - 신청 인원
총 10,000명 선발 예정입니다. - 신청 방법
PC에서 온라인 신청만 가능하며, 모바일 신청은 불가합니다.
👉 접수처: 서울시 자산형성지원사업 홈페이지
3️⃣ 희망두배 청년통장 혜택
- 본인저축액: 월 15만 원
- 매칭지원액: 본인 저축액과 동일한 금액 매월 적립
- 약정기간: 24개월(2년) 또는 36개월(3년) 선택
- 총 적립금액:
- 2년 적립 시: 총 720만 원
- 3년 적립 시: 총 1,080만 원 - 저축방법: 매월 자동이체
4️⃣ 희망두배 청년통장 꼭 알아야 할 의무사항
- ✅ 적립기간 동안 서울시 연속 거주
- ✅ 적립기간의 50% 이상 근로 (만기 시 근로 증빙 필요)
- ✅ 적립기간의 50% 이상 저축 유지
- ✅ 적립기간 동안 연 1회 이상 금융교육 이수
- ✅ 기타 약정 내용 위반 없이 성실히 이행
5️⃣ 희망두배 청년통장 실수 없이 혜택 받는 꿀팁
- 💡 3년 약정이 더 유리!
총 수령 금액이 360만 원 더 많아집니다. - 💡 근로소득 증빙이 중요!
비공식 아르바이트 소득은 인정되지 않을 수 있어요. - 💡 자동이체 계좌 잔액 체크 필수!
이체 실패 시 매칭 지원액이 적립되지 않아요. - 💡 중도해지 시 매칭지원액 못 받을 수 있음!
신중한 계획과 실행이 필요해요. - 💡 신청 자격 조건 미리 확인!
연령, 소득 기준, 거주 요건 등 모집 공고 확인 필수!
6️⃣ 희망두배 청년통장 문의
- 서울시 자산형성지원사업 공식 홈페이지
https://account.welfare.seoul.kr/ - 희망두배 청년통장 콜센터
📞 1688-1453
✨ 마치며
희망두배 청년통장은 단순한 저축을 넘어 청년의 자립과 미래 준비를 돕는 서울시의 대표적인 정책입니다. 내 조건이 해당된다면, 이번 기회를 통해 자산 형성과 자기계발, 두 마리 토끼를 잡아보세요!
728x90
'알아보자 > 경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공약 정리: 기호 1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(0) | 2025.05.18 |
---|---|
종합소득세 공제항목 완벽 정리, 이거 놓치면 환급도 날아갑니다! (0) | 2025.05.17 |
하루만 맡겨도 이자! CMA 통장이란? 장점부터 개설 방법까지 총정리 (0) | 2025.05.16 |
2025 청년도약계좌 완벽 가이드: 가입조건, 신청방법, 혜택 총정리 (0) | 2025.05.16 |
국민내일배움카드 신청방법부터 신청자격까지 총정리! (0) | 2025.05.15 |